반응형
베들링턴 테리어(Bedlington Terrier)는 독특한 양털 같은 털과 온순한 성격으로 사랑받는 견종입니다. 그러나 이 견종은 특정 유전병에 취약하여 적절한 건강 관리와 조기 진단이 필수적입니다. 작성자인 저 또한 베틀링턴테리어 여아 2마리를 키우고 있기에 관심을 더 주고 주의 깊게 관찰하려고 노력합니다. 구리 중독증이라는 대표적인 유전병이 있고, 입양 전 꼭 검사를 하고 입양을 하는 걸 추천드리고 싶습니다. 구리 중독증에는 클린, 보인, 중독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중독은 소중한 반려견이 얼마 못 가 무지개다리를 건널 수 있기에 꼭 사전에 검사를 진행 후 입양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이번 글에서는 베들링턴 테리어의 대표적인 유전병, 그 원인, 예방 및 관리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.
1. 베들링턴 테리어의 대표적인 유전병
베들링턴 테리어는 특정 유전적 돌연변이로 인해 다른 견종보다 몇 가지 질환에 취약합니다. 가장 흔한 유전병은 다음과 같습니다.
① 구리 축적병 (Copper Toxicosis)
- 설명: 베들링턴 테리어는 간에서 구리를 과도하게 축적하는 유전적 질환을 가지고 있습니다.
- 발병 원인: COMMD1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체내에서 구리를 배출하지 못하고 간에 축적됩니다.
- 증상:
- 식욕 감소
- 구토 및 설사
- 피로감 및 무기력
- 황달 (잇몸과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변함)
- 심한 경우 간부전으로 진행
- 진단 방법:
- 혈액 검사 (ALT, ALP 등 간 수치 확인)
- 간 조직 검사 (구리 축적 여부 확인)
- DNA 검사 (COMMD1 유전자 돌연변이 확인)
② 진행성 망막 위축증 (Progressive Retinal Atrophy, PRA)
- 설명: 유전적으로 눈의 망막이 점차 퇴화하여 결국 실명에 이르게 되는 질환입니다.
- 발병 원인: 베들링턴 테리어는 PRA 유전자 돌연변이를 보유한 경우가 많으며, 유전적으로 망막 세포가 퇴행하는 특성이 있습니다.
- 증상:
- 야간 시력 저하
- 낯선 환경에서 부딪힘
- 동공이 확대되고 반응이 둔해짐
- 점차적으로 실명 진행
- 진단 방법:
- 망막 검사 (안과 전문 수의사의 검진)
- DNA 유전자 검사
③ 신경 퇴행 질환 (Degenerative Myelopathy, DM)
- 설명: 신경계가 점차 손상되어 뒷다리 마비로 이어지는 퇴행성 질환입니다.
- 발병 원인: SOD1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주요 원인
- 증상:
- 초기: 걸을 때 다리를 질질 끌거나 균형을 잡기 어려움
- 중기: 뒷다리 마비 및 근육 위축
- 말기: 완전한 마비로 보행 불가능
- 진단 방법:
- 유전자 검사
- MRI 검사
2. 유전병 예방 및 관리법
① 정기적인 건강 검사
- 6개월~1년에 한 번씩 혈액 검사 및 간 기능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.
- 눈 건강 체크를 위해 안과 검진을 정기적으로 받아야 합니다.
- 유전자 검사를 통해 질병 보인자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② 올바른 식단 관리
- 구리 축적병이 있는 강아지는 저구리 식단을 유지해야 합니다.
- 신장과 간 건강을 위해 고단백 사료를 피하고, 저단백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눈 건강 보호를 위해 오메가-3, 루테인, 비타민 A가 풍부한 영양제를 급여하면 도움이 됩니다.
③ 생활 습관 및 환경 조성
- 활동적인 운동: 신경 퇴행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운동을 병행해야 합니다.
- 미끄럼 방지 매트: 신경 질환 예방을 위해 실내에서 강아지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관리합니다.
- 정기적인 귀 세정: 베들링턴 테리어는 귀가 접혀 있어 귀 염증에 취약하므로 귀 세정을 자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.
④ 조기 치료 및 관리
- 질병이 의심될 경우, 조기 진단을 통해 치료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PRA와 같은 실명 질환은 조기 치료가 어려우므로 생활환경을 개선하여 강아지가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.
- 신경 퇴행이 있는 경우, 재활 치료 및 물리치료를 병행하면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.
3. 결론: 베들링턴 테리어는 철저한 건강 관리가 필수!
베들링턴 테리어는 아름다운 외모와 영리한 성격을 가진 반려견이지만, 유전적으로 몇 가지 심각한 질환에 취약합니다. 정기적인 건강 검사, 올바른 식습관, 생활환경 관리를 통해 질병을 예방하고 반려견의 건강한 삶을 지켜주세요!
💡 베들링턴 테리어의 건강을 위해, 유전병에 대한 이해와 조기 관리가 가장 중요합니다.
반응형